네트워크관리자 하는일 확인하고 준비하세요
안녕하세요. 횽선생 입니다.
고민많이하죠?
학교 그만두고
취업이나할까?
누구나 이러한
고민을 합니다.
잘하는것을 찾기란
어렵지만,
살아오면서 노오력
했던것중에
한가지 선택해서
시작해보세요.
이루어질것입니다.
목차소개
- 네트워크관리자 하는일
- 필요지식과 환경
- 직업만족도및 전망
네 모두 가능합니다.
대한민국
IT분야로
전공자와 비전공자는
6:4 입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4차산업, IOT기술,
공장전체가 자동화시스템 운용및
관리 등으로
비전공자만
할수 있는
영역과
기존의
네트워크운영방식이
잘 맞아떨어지면서,
IT기업에서
비전공자들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관련직종으로
추천합니다
왜?
네트워크 분야가
중요한지는
알고있겠지만,
간략히
설명드리면
모든 프로그램과
시스템에는
소프트웨어의
전반적인 물리적
LINE은 네트워크
연결없이 운영이
불가능합니다.
즉
개인, 기업 또는
정부에서
관리하는
모든 데이터들의
흐림은
네트워크관리자의
통제 하에
이루어져있습니다.
무엇하나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기 어렵지만,
네트워크관리자 직업상,
특정
전상망에
하드웨어및
소프트웨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및
운영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저의 주관적인 견해로
컴퓨터언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꿀팁>
관리자
관련학과로
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저는 SW직업인특강 및
IT교육기관에서
선생님으로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정부에서 내려오는
IT진로정책이나,
취업에
관한 정보들을
학생들에게 소개하고,
IT공부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SW교육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급하게
진행하다보니
이렇게 되었지만,
대한민국의 국민성을
보았을때는
1년안으로
해결될것입니다.
관심을
보이는 친구들이
많다보니,
1:1Q&A 질문을
통해 IT비전,
환경등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저 역시
IT개발자로써
산전수전
겪어보았지만,
신입기준으로
야근없고,
주말반납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IT기업에서
여러분들을
채용하고,
필요할것이라고
생각되어
채용했습니다.
네트워크기업에
맞는 솔루션을
개발하면
성공한 직장인입니다.
<깨알팁>
1년중
바쁜시기는 3~6개월.
프로젝트기간만
힘들뿐 이외
기간동안
네트워크 유지및
보수충실히하면서
칼퇴,
더운날 시원하게,
추울때 따뜻하게
일할 수 있습니다.